전체 글 53

파이썬 @property, getter, setter

@property 클래스 내 메소드를 특성처럼 사용하기 위해 해당 메소드 위에 넣는 것 Getter : 데이터를 읽어주는 매서드 Setter : 데이터를 변경해주는 매서드 @property를 사용하는 목적 변수의 제어 기능 getter 함수를 대신 용이하게 사용 Python with @property, setter class Person: def __init__(self, first_name, last_name, age): self.first_name = first_name self.last_name = last_name self.age = age @property def full_name(self): return self.first_name + ' ' + self.last_name @full_name...

EDA

python의 pandas를 통한 기초 EDA(Exploratory Data Analysis) : 데이터를 분석하기 전 탐색하여 패턴을 발견하거나 데이터의 특이성을 확인하거나 시각화를 통해 가설을 검정하는 과정 등을 말합니다. 데이터셋을 불러온 후 해야하는 것 행과 열의 수 체크 # (DataFrame.head(), DataFrame.shape) 열에 헤더가 있는지(컬럼 명 체크) # (DataFrame.head() 결측 데이터(Missing Data) 체크 # isna, isnull EDA관련된 함수 Missing Data isna : NA값을 확인합니다. isnull : NULL값을 확인합니다 notnull : NULL값을 확인합니다 dropna : NA값 제거 fillna : NA값 채우기 Data..

머신러닝 2021.07.15

OOP(Object Oriented Programming)의 개념과 이해

OOP를 이해하기 위한 Class, Instance, Object의 간단한 개념 클래스 객체를 만들기 위한 설계도. 아래 사진을 보면 붕어빵 틀이라고 할 수 있다. 객체 구현할 대상(클래스에서 선언된 그대로 만들어진 것), 즉 붕어빵이다. 인스턴스 설계도를 바탕으로 객체를 실체화 하면 그것이 인스턴스 이다. 객체는 메모리에 할당되어 있지않으며, 단순히 클래스 내 함수로 선언 되어 있는 것이며, 클래스 밖에서 변수로 선언 되어 메모리가 할당되어지는 경우를 인스턴스라 한다. 또 다른 쉬운 그림을 보자면 아래와 같다. 객체vs 인스턴스 : 다시한번 살펴보자면, 객체는 클래스 타입으로 선언되엇을 때 객체라 하며, 해당 객체가 메모리에 할당되어 실제 사용 될 때 인스턴스 라고 한다. 헷갈리지 않게 주의하자. 크게..

OOP 2021.07.12